티스토리 뷰
요즘 환율이 엄청 떨어졌습니다.
지난 3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환율이 1,300원까지 올랐다가 지금은 1,175원으로 떨어졌습니다.
지금이 바로 달러 투자의 기회일까요?
달러 투자의 방법과 왜 투자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.
달러에 투자하는 방법!
첫 번째는 달러 통장와 달러 RP입니다.
은행에서 개설 가능하며 입출금 형식입니다.
원화를 입금하면 그날의 환율에 따라 달러로 환전되어 예금이 되는 것입니다.
달러가 올랐을 때 원화로 교환할 수도 있고 달러로 출금도 가능합니다.
여행 후 등 달러가 남았거나 단순 보관하여 환테크를 노리는 목적으로도 많이 활용하시더라구요.
5,000만원까지 예금자 보호가 되어 안전한 상품입니다.
반면 달러RP는 환매조건부채권이라고 하는 CMA의 종류 중 하나입니다.
즉, 은행 말고 증권사에서 가입이 가능하죠.
원화를 입금 환율에 따라 달러로 환전하는 방식은 달러 통장과 비슷한데
국공채나 우량기업에 투자하는 상품으로 이율이 달러통장에 비해 1% 정도 높은 것이 특징입니다.
두 번째는 달러 관련 ETF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.
없는 게 없는 ETF는 미국 달러 환율을 추종하는 달러 ETF도 있는데요.
KOSEF 미국달러선물과 같은 ETF 들이죠.
환율이 오르면 수익이 나고, 떨어지면 손해를 보는 구조입니다.
인버스 상품도 있어 반대로도 투자할 수 있습니다.
왜 달러에 투자할까?
흔히 달러를 금과 함께 안전자산이라고 하죠.
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을 때 사람들은 일부 자산을 달러에 투자하기도 합니다.
직접 투자의 경우 달러는 언제든 환금할 수 있고, 어느 나라에서도 자산으로 인정 받기 때문에 코로나 사태처럼 불안정한 상황에서는 자산의 분산을 위해 달러를 사는 것입니다.
그런데 말입니다.
안전자산 치고는 장기적으로도 변동성이 너무 심하네요? ㅋㅋ
지난 3월 역시 위기 상황에서 달러를 사 모으는 투자자들이 많았지만 미국 중앙은행이 경기 부양을 위해 달러를 풀면서 치솟았던 달러 가격이 점점 하락세를 탔습니다.
특히 코로나 이후에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달러가 안정적이라고는 볼 수 없을 것 같습니다.
환차익 실현을 위해 달러에 투자하기 보다는 리스크 헷지 차원에서 분산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나 싶습니다.
환율이 낮으니 달러 투자를 하는 것 보다는 미국주식에 투자하는 것이 훨씬 이득인 듯 합니다.
그럼 여러분 오늘도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:)
'주린이의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표적인 전세 사기 유형, 깡통 전세 확인과 예방 방법 (0) | 2022.12.22 |
---|---|
은값 많이 올랐는데, 골드만삭스가 달러 팔고 은 투자 하라는 이유는? (0) | 2020.10.16 |
사회초년생 재테크 추천, 카카오뱅크 26주 적금! (2) | 2020.09.23 |
월세 25만원으로 신촌 살기? 이랜드 청년주택! (0) | 2020.09.16 |
매일 이자를 주는 통장, CMA 통장! (0) | 2020.09.06 |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주식공부
- 주식예능
- 디즈니플러스
- 텔라독
- 전기차
- 주식책추천
- 빅히트
- 전기차시장
- 미국주식
- 재테크
- 리봉고헬스
- 워렌버핏포트폴리오
- 중소기업내일채움공제
- 주식
- LG화학
- 현대차배당
- 역세권청년주택
- 워렌버핏
- 아마존
- 삼성전자
- 텔라독헬스
- 테슬라
- 엔비디아
- 주식투자
- 전기차시장전망
- 파스토셀프
- 현대차
- 테슬라주가
- 메타버스관련주
- 리봉고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