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연일 테슬라를 중심으로 한 나스닥 하락으로 난리네요 ㅠㅠ

다행히 오늘은 좀 회복세를 보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. 테슬라 힘내라 ㅠㅠ

 

나스닥의 폭락을 다루고 있는 뉴스와 유튜브에 심심치 않게 들리고 있는 VIX 지수!

VIX 지수가 무엇인지 궁금해 그 개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 

VIX 지수란?

 

VIX지수(Volatility Index)는 흔히 공포지수라고도 불리며

S&P 지수가 향후 30일간 얼마나 움직일 것인가에 대한 시장의 기대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.

미국 시카고옵션거래소에서 발표하는 지표로 투자 심리를 나타냅니다.

 

 

 

 

과거 데이터를 살펴보면 2008년쯤 한 번, 2020년에 한 번 변동성 지수가 크게 올랐네요.

2008년 리먼 브라더스 사태로 인한 주가 폭락, 2020년 3월에는 코로나로 인한 폭락이 있었죠.

 

즉, VIX 지수와 주가지수는 경향이 있습니다.

투자자들은 VIX 지수가 높으면, 즉 변동성이 커질 것이라고 생각하면 매수를 하지 않고 매도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그러니 당연히 주가는 하락할 수밖에 없습니다.

반대로 변동성이 적고 안정적이라고 생각한다면 매도 대신 매수를 하는 경우가 많죠.

VIX 지수를 왜 공포지수라고 하는지 알겠네요.

 

보통 20이하는 안정적으로 움직이고 30이상이면 변동성이 고조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

 

 

VIX 지수에 투자할 수 있다?

 

VIX 지수 자체에 투자할 수 있는 ETF 등의 상품이 있다고 합니다.

미국 종목 뿐만아니라 국내 ETF 상품도 있다고 하네요.

투자자들이 공포를 느낄 때 VIX 지수 역시 높아지기 때문에

시장과 반대로 가는 일종의 인버스 투자가 될 수 있겠네요.

 

그러나 장기적으로 보아도 큰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

공포 상황에서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단기 투자용으로 활용하는 것이 대부분인 것 같습니다.

 

 

VIX 지수, 현재 상황은?

 

 

 

 

최근 1개월간 VIX지수와 S&P 500지수를 비교해 볼까요?

약 10일전부터 VIX지수와 S&P500지수가 같이 상승하고 있는데요.

보통 그래프가 반대로 가야 하는데 좀 이상하죠?

 

투자은행 골드만삭스에서는 이를 버블 붕괴의 위험신호로 해석하기도 했습니다.

2000년 닷컴 버블 붕괴 이후 볼 수 없었던 현상이라고 하네요.

 

오늘 변동성 지수가 일부 하락하기도 했지만

아직 30에 가까운 수치라 그리 안정적인 시장은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.

 

일부에서는 조정장이라는 말도 있고, 버블의 징조라는 말도 있는데요.

변동성지수도 계속 지켜보면 투자에 잘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.

장기적으로 변동성 지수와 주가지수가 어떻게 움직였는지 살펴보면, 어느정도 감을 잡을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.

 

그럼 여러분, 오늘도 테슬라는 힘내길 바라며 성투하시길 바랍니다.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7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 31
글 보관함